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34.jpg
학술저널

북한의 교육비와 교사충원에 관한 소고

Study on the Education Costs and Appointment of Teachers in North Korea

  • 61

최근 북한은 교육혁명을 통해 과학기술인재를 키워내고 과학기술혁명을 통해 뒤떨어진 경제를 단번에 도약시킬 목표 하에 교육발전에 많은 관심을 돌리고 있다. 북한이 교육발전을 위해 많은 관심을 돌리고 있는 분야는 대학, 학교 재건과 교사의 질적 양적 확대이다. 그 과정에 시범학교 건설, 교수의 현대화 등 외면상 변화가 많이 소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성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추론된다. 논문에서는 교육비 부족이 교육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북한에서 교사의 질적 양적 부족을 초래하고 있는 근본원인이 국가의 교육비 지출이 실질수요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데 있다는 것을 밝혔다. 북한에서는 교육비 부족으로 교사 저임금, 운영자금 미 공급 상태에서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교사의 이탈과 책임감 저하로 이어져 교육의 질적 저하와 교육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북한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도로 교사의 자긍심을 높여주기 위한 선전을 강화하면서 사상교양과 통제를 강화하고 대중운동으로 극복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교사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 방도로 되기는 어렵다

Recently, North Korea has been focusing a lot of attention on educational development. Its goal is to foster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through an education revolution, which would in turn propel its lagging economy. Some of the areas in which it is looking to achieve this is by renovating universities and schools, as well as expand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eachers. In the process, many external changes are taking place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experimental schools and updating of professors’ knowledge, but results suggest that their desired effects are not that significant.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the lack of education s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t reveals that the root cause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hortage of teachers in North Korea lies in the state’s alarmingly low spending on education compared to actual needs. Low teacher wages and lack of operating funds is leading teachers to decrease their responsibilities and seek outside financial opportunities, which is cau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o deteriorate and become more polarized. In response, North Korea is stepping up its propaganda to enhance teachers’ self-esteem, while strengthening indoctrination and control over th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is as a practical way of solving teachers’ problems.

Ⅰ. 머리말

Ⅱ. 북한 교사양성·충원체계

Ⅲ. 교육비 부족과 교사충원

Ⅳ. 교육비 부족 극복 정책과 전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