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F DSC 기반 Position Request Calling 분석
Analysis on the Position Request Calling based on VHF DSC
- 김병옥(Byungok Kim)
- 한국항해항만학회
-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0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2020.07
- 22 - 25 (4 pages)
세계해상조난안전시스템(GMDSS)의 제도에 따라 호출응답 및 조난경보 전송 등에 활용하기 위한 VHF DSC(디지털선택호출) 장치가 도입되어 2톤 이상의 선박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VHF DSC를 연근해 어선들의 위치정보 수집을 위하여 위치정보요구호출(Position Request Calling) 기능에 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VHF DSC를 설치한 선박이 증가함에 따라 해안국의 DSC를 사용한 호출도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조난경보 등 중요한 호출의 전송을 지연시키거나 호출신호 상호간의 혼신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에서 수신된 VHF DSC 데이터를 기반으로 Position Request Calling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VHF DSC devices ar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GMDSS(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for use in the distress alert transmission as well as calling and acknowledgement, and are installed on all the vessels above 2 gross tons. In Korea, the VHF DSC is mainly used for the position request calling function in order to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fishing boats sailing near coastal sea area.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fishing boats installed VHF DSC devices, the number of position request calling by coast radion stations are also increased rapidly. This result in a high possibility of transmission delay of important calling such as distress alerts or high possibility of interference among calling signals. Based on the received VHF DSC data in Busan area, this paper analyzed the status and problem of position request calling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1. 서 론
2. VHF DSC 국제 표준
3. VHF DSC 호출 및 응답 현황 분석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