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45.jpg
학술대회자료

혁신도시 입지특성에 따른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도 분석

Analysis on the Activity of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Cluster in terms of the Location

  • 181

혁신도시 건설은 세종시와 함께 수도권에 집중된 국가중추기능의 지방이전을 통해 국가의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가장 핵심적인 정책수단으로 진행되었다.(국토연구원, 2020) 혁신도시는 계획에 따라 순조롭게 진행되어 왔으나 당초 목표외는 달리 이전 공공기관⋅기업체⋅지역대학 등 지역 혁신주체들의 협력 선순환고리가 만들어지지 못해 혁신도시의 내생적 발전동력은 부족한 실정이다.(국토부, 2018) 혁신도시의 혁신역량과 발전동력은 산⋅학⋅연 상호 연계를 통한 혁신창출을 유도하기 위해 계획된 산학연클러스터용지의 활성화 정도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도시의 입지특성에 따른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도 지표로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의 기업입주율을 설정하였으며, 주요 변수로는 수도권 인접도, 모도시 인접도, 모도시 인구수, 모도시 경제규모 등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도는 수도권 인접도, 모도시 인구수 및 모도시 경제규모와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도시 인접도와는 부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의 상관성은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이전기관 기능군과 지역특화산업 연계정도, 토지이용 기능별 구성비 등과의 상관관계 등 혁신도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