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 인간식물환경학회
-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 2020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2020.11
- 251 - 251 (1 pages)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 S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36명(실험군 19명(78.0±4.81세), 대조군 17명(79.5±5.14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텃밭 다지기, 흙 섞기, 씨뿌리기, 모종심기, 솎아내기, 물주기, 수확하기 활동으로 구성하여 채소텃밭 가꾸기 위주의 총 18회기(주 3회, 회기당 60분)로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참여노인이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인지적, 심리사회적 효과를 평가하였다. 신체기능 평가는 손 기능(장악력, 악력, 손의 기민성)과 노인신체기능검사(SFT)를 평가하였다. 인지 기능 평가는 MMSE-K(Folstein et al., 1975)를 평가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참여 노인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뇌유래 신경인자(BDNF), 혈관내성장인자(VEGF), 인슐린유사성인자-1(IGF-1), 단구주화성인자(MCP-1)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심리사회적 척도는 GDS-K, 삶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사후검사에서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손의 기민성이 향상되었다(p=0.006). 노인신체기능검사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MMSE-K는 24점 이상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후 BDNF는 대조군의 경우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실험군의 경우 유지하였다. 실험군의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였다(p=0.000).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진행시간, 주당 회기 수, 참여지속의향, 추천 의향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신체, 인지, 심리사회적 건강 유지, 개선을 위한 잠재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건강한 노화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