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자원봉사관리자 직무분석 및 직무모형 개발

Job Analysis and Job Model Development for Volunteer Managers

  • 965
154060.jpg

본 연구는 특정 취약계층을 원조하던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동체 영역에서 변화를 모색하는 시민주도의 자원봉사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며, 자원봉사활동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전문가로서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은 어떠한지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향후 자원봉사관리자의 자격제도 도입 및 관련 학문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자격제도와 직무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자원봉사활동이 오래전부터 사회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서구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관련 자격제도 역시 난립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분석 및 직무모형 개발을 위해 국내 9명의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진행하는 질적연구와 122명의 자원봉사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양적조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인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국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는 9개의 책무와 41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41개 작업요소 별로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비교하는 IPA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ave the way forintroducing the volunteer manager licensure and related area by suggesting the job modeling as plan maker and manager in the midst of changing paradigm from supporting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to groping change in various community settings which are led by citizen.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current volunteer manager certificate system in Korea and abroad, and existing study about their job modeling.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study about volunteer manager job model was limited on the contrary of the population in western countries, and the vasious certification system were mushroomed and individualized due to the jumbling of private licensure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ers suggested a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 by mixed method which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experts in the field, and survey with 122 volunteer managers. In detail,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 in Korea was developed with nine duties and 41 works. The study performed IPA analysis which compares importance and job frequency in each works, and suggested its results and implication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