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and Applicability Analysis of Dynamic Landslide Hazard Using Matrix Approach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9
- : KCI등재
- 2020.09
- 1 - 11 (11 pages)
산사태 발생시점 및 지점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서로 다른 목적과 범위로 구성되었지만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구축한 산사태 예보체계와 산사태위험지도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정적 산사태위험도를 동적 산사태위험도로 변환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해 시공간적 위험도의 매트릭스 결합을 수행하였다. 2017년 산사태 발생지인 충청남도 천안시의 시나리오 및 실제 산사태 발생시점을 대상으로 다양한 매트릭스 평가모형을 적용한 결과, 간단한 행렬 조합만으로 동적 산사태위험도의 정량적 평가를 가능케 하였으며, 정확도 또한 기존의 산사태위험지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1시간 이후의 산사태 예측정보와 결합을 통해 단기적인 미래의 동적 산사태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기구축된 국가산사태 예보체계와 산사태위험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우기 시의 산사태위험지 관리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dels to predict when and where a landslide occurs were constructed with different purposes and scopes, but tended to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vert the static landslide hazard into the dynamic landslide hazard and combine a spatiotemporal hazard matrix to assess it, in order to enhance the usability of the early warning system for landslide and the landslide hazard map develop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 applied various matrix evaluation models to develop scenarios and assess the 2017 landslide occurred in Cheona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simple combination of matrices facilitated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dynamic landslide hazard and its accuracy was higher than the static landslide hazard map. In addition, the dynamic landslide hazard can be assessed for the near future by integrating the 1-hour prediction data provid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national landslide forecast system and landslide hazard map, which should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ing landslide-prone zones during the rainy seas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