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66.jpg
학술저널

비타민D의 임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vitamin D

  • 572

비타민D는 오래전부터 골격계 건강의 중요한 인자였고, 최근 비골격계 기능들이 알려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즉 골다공증 외에도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질환, 암, 면역 조절과 관련이 있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다. 최근 코로나 대유행과 관련하여 면역 증강 및 조절에도 중요한 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연구에서 비타민D 제제 섭취에 주안점을 둔 연구는 대부분 부정적인 결과를, 목표 혈중 농도를 유지한 연구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은 비타민D 제제를 단순히 먹는다고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에 도움이 된다라고 보기보다는 혈 중 비타민D가 제대로 작용할 정도의 충분한 농도에 장기간 도달 및 유지하는 것이 더 유익하다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섭취비타민D 농도는 철저히 개별화하는 것이 좋으며 혈중농도를 측정하면서 정하는 것이 좋다.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vitamin D was associated with non-skeletal function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coronary artery disease, cancer and autoimmune diseases as well as skeletal function such as osteoporosis. In addition, vitamin D also is known to have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vity against tuberculosis and influenza in this COVID-19 pandemic. Some studies reported vitamin D supplementation have shown no additional benefits, however, other studies focused on the serum 25-hydroxyvitamin D have reported high survival rate of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refore, it is wise to focus on maintaining serum target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40~60 ng/mL) not simply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it should be monitored after individualization. In this brief review, I tried to summarize the importance of vitamin D and the clinical application of vitamin D.

서론

본론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