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일본 고등학교 사회과 역사과목 주제학습의 성립과 정착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of Theme-based Learning in Japanese High School Social Studies History Education

DOI : 10.16976/kahe.2020..38.105
  • 72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주제학습은 1960년판 학습지도요령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일본 고유의 학습 방식이다. 이 글에서는 1960년판 학습지도요령부터 1978년판 학습지도요령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주제학습의 등장 배경 및 성립에서 정착까지의 과정을 ①목적, ②내용 구성, ③학습 방법의 3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학습의 목적으로는 역사적 사고력의 심화와 역사학습 방법의 습득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주제학습을 통해 심화해야 할 역사적 사고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습득해야 할 역사학습 방법은 어떤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둘째, 내용구성론의 관점에서 볼 때, 주제학습과 통사학습의 유기적 관련 도모, 학습 내용의 정선, 주제 선정 기준의 개선 등과 같은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1970년판 학습지도요령부터 학습 내용의 정선과 함께, 주제 선정 관점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주제학습과 통사학습의 유기적인 관련을 도모하기 위해 통사학습을 통한 기본적 사항의 이해→ 주제학습을 통한 역사학습 방법 습득과 역사적 사고력 심화→ 통사학습의 발전적 전개라는 논리를 제시하고 있다. 1978년판에서는 학습 내용을 한층 정선하였고, 주제 선정 관점도 민속학과 문화인류학·고고학의 성과 등을 도입하여 개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제학습을 계통적인 통사학습의 흐름 중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실시한다는 한정된 내용 구성 방식에서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다. 셋째, 학습방법론의 관점에서 볼 때 주제학습은 1970년판에서 처음으로 주체적 자발적 학습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학습방법론이라는 성격이 제시되었고, 1978년판에서 그것이 보다 명확해지게 된다. 하지만 학생의 자발적인 학습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역사학습 방법의 지도와 적절한 학습 방법의 도입이란 원칙적인 제안만 하고 있고,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제대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1978년판에서 주제학습은 일본 고등학교 사회과 역사과목의 주요 학습 방식으로 정착하게 되지만, 목적의 불명확성, 내용 구성 논리의 제한성, 학습 방법의 비구체성 등의 한계로 인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제학습은 이후의 학습지도요령 개정에서도 변모를 거듭하면서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육의 발전과 변혁을 추동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history education of high school in Japan, theme-based learning first appeared in the 1960 version of course of study and is a unique Japanese learning method that has been continuously presented to this day. This paper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me-based learning and the process from establishment to settlement from the 1960 s course of study to the 1978 s course of study,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① purpose, ②content composition, and ③learning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urpose of theme-based learning, in-depth study of historical thinking and the acquisition of history learning methods are suggested. However, it does not specifically suggest what historical thinking should be deepened through theme-based learning and what history learning methods should be acquired. Secon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nt construction theory, progress is being made such as promoting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me-based learning and syntactic learning, selecting learning content, and improvi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topic. Since the 1970 s Course of Study, it has systematically presented a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a perspective on topic sel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me-based learning and syntactic learning, the logic of understanding basic matters through syntactic learning → acquiring history learning methods through theme-based learning and in-depth historical thinking → developing syntactic learning is presented. In the 1978 version, the content of learning was further selected, and the perspective of subject selection was improved by introducing the achievements of folklore, cultur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Nevertheless, it has not deviated from the limited content composition method that theme-based learning is appropriately arranged in the flow of systematic syntactic learning.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methodology, theme-based learning was presented as a student-centered learning methodology for the first time in the 1970 version to develop subjective and voluntary learning activities, and it became clearer in the 1978 version. However, as for the way to develop students voluntary learning activities, only the principle of guidance on the history learning method and the introduction of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is suggested, and specific plans are not properly mentioned. In the 1978 version, theme-based learning was settled as a major learning method in Japanese high school social studies history subjects, but due to limitations such as ambiguity of purpose, limitation of content composition logic, and non-specificity of learning method, it was not properly rooted in the actual school field. Nevertheless, theme-based learning plays a role in driving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history education of high school in Japan, as it continues to change even in the subsequent revision of course of study

Ⅰ. 문제의 소재

Ⅱ. 주제학습의 등장 배경

Ⅲ. 주제학습의 성립과 특색 - 1960년판 학습지도요령

Ⅳ. 주제학습의 확대 - 1970년판 학습지도요령

Ⅴ. 주제학습의 강화와 정착 - 1978년판 학습지도요령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