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학습자와 면대면 학습자 간 동기조절전략 사용이 인지적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Cognitive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 한국열린교육학회
- 열린교육연구
- 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 : KCI등재
- 2020.11
- 347 - 373 (27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조절전략 사용에 있어서 학습 환경(맥락적 요인: 온라인 학습과 전통적 면대면 학습)과 학년별 수준(개인적 요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동기조절전략 사용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G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동일한 교직 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141명(2019년 2학기 면대면 학습자 70명과 2020년 1학기 온라인 학습자 71명)을 대상으로 해당 학기 말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 환경과 학년별 수준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사용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동기조절전략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자의 학습 환경과 학년 수준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사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자는 면대면 학습자에 비해‘상황흥미증진’, ‘숙달자기지시’,‘수행회피 자기지시’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학년일수록‘수행접근 자기지시’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동기조절전략은 인지적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동기조절전략들이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지만,‘수행접근 자기지시’전략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전략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조절전략 사용과 동기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Motivational regulation has been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Despite the importance of motivational regulation in learning, little was known about motivational regulation process moderated by contextual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learning environments (online learning vs. face-to-face learning) and academic levels affect the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tent of which the individual strategies of motivation regulation influence using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A total of 141 students who enrolled in ‘Instructional Methods and Technology’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an unnamed 4-year public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n onlin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70 face-to-face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nd 71 online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results of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showed that their learning environments and academic level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ifferentiating the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ou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different sets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onsistently predicted the levels of using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motivational regul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cognitive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appropriate instructional design effort and motivational support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to ensure a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