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 대한 학생 인식

Student’s Perception of Successful College Life : Student Success as a Practical Concept and Perspective

  • 1,482
154070.jpg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관점에서‘성공적인 대학 생활’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개인 특성(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서울 지역 4개 대학에 재학하면서 능동적인‘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의 모습을 보인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적 자료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키워드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보다 체계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깊은 인간관계 경험’,‘만족스러운 취업’,‘높은 학점’,‘폭넓은 인적 교류’,‘전공 지식 함양’,‘다양한 교내외 활동’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얽혀있는 양상을 보였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것끼리 집단화한 결과, 3개의 개념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은 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맥락에서 학생들의 시각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대학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common features of students who are considered to have been successful at learning and college life from the student s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a successful college life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students. Samples include ninety-thre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Data from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successful school lives with related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The study also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to explore how these key words are structurally linked to each other.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uccess include various elements (key words) - ‘deep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 satisfied employment , higher GPA , an wide range of social relationship , ‘acquisi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 and a full palette of varied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at these elements are high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divided into three clusters.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features of successful college life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