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70.jpg
KCI등재 학술저널

민주시민교육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선 방향

A Study of the Improvements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2015 National Curriculum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Focused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Construction’

  • 337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전반적인 사항을 다루는‘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학교 민주시민교육 강화를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홍익인간이라는 교육이념이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이라는 교육목적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으며, 초등학교 교육목표에는 민주시민 관련 표현이 빠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의 관계가 모호하며 이 두 가지가 민주시민이라는 교육목적으로 수렴한다고 보기 어려웠다. 서술 방식 측면에서는 학습자나 교사를 주체로 하는 문장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총론에서 민주시민교육 관점을 더 많이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정 이유를 제시하고, 교육이념 부분에서 헌법 정신과 생활양식으로서의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교육목적, 학교 급별 교육목표, 인간상, 핵심역량 등이 모두 민주시민을 지향하도록 할 해당 표현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범교과학습 주제를 시민 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학습자, 교사 등이 능동적인 교육 주체로 부각되도록 교육과정 서술 방식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Construction’ of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find improvements. There are several major findings. First, Hongikingan as the educational ideal does not match exactly with the educational goal, democratic citizenship. Second, the part regarding the educational purposes for elementary schools misses the expression, “democratic citizenship.”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person and the core competencies is not clear and and neither converge on democratic citizenship. Fourth, there are few sentences of which subjects are students or teachers who should be the active educational players. In order to make the general guidelines refle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erspective more strongly,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both the constitutional values and democracy as a way of everyday life in the section of the curriculum revision backgrounds and the educational ideal. We also need to make the components of the general guidelines head for democratic citizenship more clearly, such as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purposes of each school level, ideal persons and overall core competencies. It is also necessary to reorganize cross-curricular topics on the basis of citizen’s life areas. Furthermore, we should consider describing students and teachers as active educational players in more sentences with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Ⅰ. 서 론

Ⅱ.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변천과 교육과정의 중요성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민주시민교육 관점에 따른 총론 개정 방향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