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70.jpg
KCI등재 학술저널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Small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 83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절벽 시대의 도래에 맞춰 농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체육과 교육과정을 드러내고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문헌 분석, 전국 5개 권역 초등학교 방문을 통한 교사와 학생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고, 삼각 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적 수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시 예상되는 난점이 드러났는데, 이는 시설 및 인적자원 접근의 한계, 적은 학생 수, 나 홀로 교사로 인한 난점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실천적 수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시 특징이 드러났는데, 1) 교사의 교수 측면에서‘친밀하고 개인적인 소통’,‘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체육수업’,‘개별적인 체육 돌봄’, 2) 학생의 학습 측면에서‘소인수 학급으로 인한 제약’,‘경쟁 및 협력 기회의 부족’,‘학교 밖 체육수업 활성화’가 주요 특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개선 측면에서 지역 환경, 학생, 교사 요인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개선 측면에서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년군별 유의점으로 구분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physical education (PE) curriculum of sm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nalyze them,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2015 revised PE curriculum document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visits to elementary schools in five regions nationwid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debriefing were conducted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difficulties in applying PE curriculum to rural areas at the document level were revealed, which were categorized as the limitations of access to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the difficulty caused by teachers alone. Second, the characteristics in applying PE curriculum to rural areas at the practical level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1)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intimate and personal communication’, ‘customized PE clas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individual PE care’ were found. 2)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restrictions caused by small-scale classes’, ‘lack of opportunities fo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out-of-school PE classes’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discussion was divided into local environment, students, and teacher factors in terms of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grade group were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