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울시 성별 1인 가구 분포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Gender Households in Seoul

  • 208

미래 인구구조의 핵심은 1인 가구이며, 이미 주택정책을 비롯한 많은 사회현상의 주 핵심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1인 가구를 위해 지자체 최초로 1인 가구 지원과 관련한 조례를 마련하거나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1인 가구는 생성 배경과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방식과 경제활동에 대해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1인 가구가 지닌 인구 사회학적 및 공간적 분포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발표되는 정책들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의 2018년 여성과 남성 1인 가구의 분포 현황을 살펴보고, 서울시의 동별 특성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간오차모형을 통해 살펴본 결과 여성과 남성 1인 가구는 직장ㆍ거주 근접을 선호하며, 3차산업의 선호도가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족 단위의 가구가 많이 사용하는 시설의 선호도는 떨어지며, 여성과 남성 1인 가구 대다수가 대학교가 위치한 지역에서 거주하기 때문에 대학교와의 접근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방범 CCTV의 개수가 많은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주거환경 선택 시 보안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core of the future demographic structure is a single-person household, which is already a major key factor in many social phenomena, including housing polic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the first local government to prepare ordinances related to suppor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establish and carry out basic plans.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lifestyle and economic activities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cre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blished policies can be effective only when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single-male and female households in Seoul in 2018,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each gender in Seoul. After examining the spatial error model, single female and male households prefer the proximity of work and residence, and the preference toward tertiary industries is higher. The preference for facilities that are frequently used by family households is low, and the majority of single-male and female households live in the area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so they prefer easy access to the university.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the security aspect is important when choos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because people prefer places with a large number of security CCTVs.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서울시 1인 가구 현황

Ⅳ. 연구설계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