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93.jpg
KCI등재 학술저널

통합환경법의 일환으로서 가칭 「이산화탄소 저장 등에 관한 법률」안

Tentatively named 「Carbon Dioxide Storage etc. Act」 draft as a part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Act

  • 95

장기적으로 온실가스를 대규모로 감축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CCS 사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고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CCS 전 과정을 다루는 환경관리제도 및 법률을 제안하고 있다. 지중저장의 가장 큰 쟁점은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누출로 인한 위해성 여부이다.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면 저장 효율을 낮출 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거동을 파악하고 누출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육상 저장의 경우에는 음용 가능한 지하수 자원의 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지중저장이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지 선정에서부터 주입 중 및 주입 후 폐쇄에 이르는 전 단계에 걸쳐 모니터링하고 국가적 차원의 인・허가 규정 및 환경 관리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CCS 기술을 2014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중점 육성 기술로 선정하였고, 2010년 녹색성장위원회에서는 국가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달성을 위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였고 그 이후 2017년에 위 계획을 수정하여 2020년까지 CCS 플랜트 상용화와 국제기술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한 CCS 기술개발 추진 기반을 마련하여 추진하여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개발에 비하여 환경적으로 안전한 CCS사업을 위한 환경관리 지침과 법규 정비의 미비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칭 「이산화탄소 저장 등에 관한 법률」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CCUS에 대한 국민수용성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수단으로서의 CCS기술의 개념, 중요성 및 국제연구현황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 가칭 「이산화탄소저장등에 관한 법률」안을 소개한다.

In the long term,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y that reduces greenhouse gases on a large scale is in the spotlight. In order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CCS project and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legislation covering the life-cycle CCS process is proposed. The biggest issue with underground storage is whether there is a risk due to the leakage of injected carbon dioxide. This is because when carbon dioxide leaks, not only the storage efficiency is lowered, but also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and the surrounding ecosystem are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grasp the behavior of injected carbon dioxide and to prevent leak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nd storage, the protection of potable groundwater resource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at underground storage is safe and eco-friendly, it is necessary to monitor all stages from site selection to closure during and after injection, and establish national licensing/license regulation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regulations. In Korea, CCS technology was also selected as a key fostering technology for low-carbon green growth in 2014. It has been revised and has established and promoted the basis for CCS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aims to commercialize CCS plants and secure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y 2020. However, compared to such research and develop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guidelines and legal regulations for environmentally safe CCS projects are still insufficient, and solutions related to public communication in particular need to be discussed further. In this study, the concept, importance, and international research status of CCS technology as a means of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re briefly reviewed, and tentatively named 「Carbon Dioxide Storage etc. Act」 draft as a part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Act is considered.

I. 서 론

II. CCS의 개념·중요성 및 이산화탄소의 법적 개념

III. CCS 프로젝트의 국제현황 및 전망

IV. 통합환경법의 일환으로서의 가칭 「이산화탄소 저장 등에 관한 법률」안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