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경영환경은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 내의 경쟁 심화와 더불어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시대에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조직의 성과를 올리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과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에 관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 숙련과 역량을 중시하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이와 다소 이질적인 자동화 기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주제를 분석하였다. 향후, 산업기술 발전으로 자동화 정도 수준이 인지능력을 확보한 양적 또는 질적 증가가 예상됨으로 ‘자동화 정도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더불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주제는 앞으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정책 방향을 예측하고 결정하는 것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 패널 자료 2차(2007년)에서 6차(2015년)까지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자동화 정도의 상호작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성과로써 노동생산성과 자발적 이직률 등 두 가지를 포함하였다. 분석의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은 노동생산성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자발적 이직률에는 부(-)적 영향을 주었다. 아울러 자동화 정도와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상호작용변수는 노동생산성에 대해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동화 정도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자발적 이직률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급격한 기술적 환경변화에서 기업이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관리와 기술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균형을 이뤄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촉발할 것이다.
We studied empirically the impact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composing of turnover rate and labor productivity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utomation level on the relation between HPWS and performance(turnover rate, labor productivity). We analyzed the balanced workplace panel data from 2007(2nd year) to 2015(6th year) surveyed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HPWS made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and negative impact on turnover rate as we expecte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m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HPWS and productivity was found to be negative,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mation between HPWS and turnover rat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the automation level of workplace somewhat neutralized the positive impact of HPWS on labor productivity. This moderating effect of automation means the possibility that HPWS and automation might be a substitute over the role in the workplace than complement each other. We discussed that the role of substitute might be dependent on the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isting of automation. We argued that the higher AI level of automation, the substitute role of automation would be higher over the human skill supported by HPWS. Finally, we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