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한국어 격조사 ‘이/가’, ‘을/를’은 정보구조적으로 문장의 신정보 요소인 초점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일각에서는 이를 ‘초점 표지’로 설명한다. 본고는 격조사와 초점의 관계를 상술한 여러 선행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자세히 검토하여 그 근거와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고, 정확한 상관관계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해석론적 방법론과 표현론적 방법론, 넓은 초점과 좁은 초점, ‘이/가’와 ‘을/를’의 구별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기존에 다뤄지지 않았지만 격조사와 초점의 관계의 중요한 이면을 보여주는 맥락으로, 비-초점에 격조사가 반드시 쓰여야 하는 맥락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는 격조사를 어떠한 의미에서도 ‘초점 표지’로 보는 것이 부적절함을 말해준다. 또한 격조사와 초점의 관계를 고찰할 때 사용역 변인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언어에서 사용되는 ‘초점 표지’의 의미에도 주의해야 한다. 더 나아가, 언어 연구에서 ‘표지’라는 술어는 모호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통한 이분적 진술보다는 의미·기능과 형식의 상관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자세히 기술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Korean case markers such as ‘i/ga’(nominative) and ‘ul/lul’(assusative) are closely related to focus, an element conveying new information in a sentence, in the framework of information structure, leading to the claim that the morphemes are ‘focus markers’. This paper showed that the previous research have used data and methodolog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a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onomasiological approach and semasiological approach, broad focus and narrow focus, and ‘i/ga’ and ‘ul/lul’, repectively, to determine the exact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les and the informational status. We also discovered a new context demonstrating a crucial facet of their relationship, which is the context obligated to use a case marker even for a non-focus constituent, showing that the use of the term ‘focus marker’ is inappropriate in any meaning. Lastly,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register variations along with other factors and pay close attention to meaning of ‘focus marker’ in other languages. Furthermore, the linguistic term ‘focus marker’ is frequently used with rather vague meaning, so it is more adequate to describ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meaning or function in more detailed way than to simply adopt dichotomic judgment resorting to it.
1. 서론
2. ‘초점’, ‘표지’, ‘격조사’의 개념
3. 선행 연구 검토
4. 격조사와 초점의 관계를 보여주는 새로운 자료와 그 해석
5. 격조사와 초점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고려 사항들
6. 결론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