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정책 불확실성
Policy Uncertainty in Korea
- 황성윤(Seongyoon Hwang) 정태훈(Taehun Jung)
- 한국경제통상학회
- 경제연구
- 經濟硏究 第38卷 第4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1
- 81 - 101 (21 pages)
본고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Baker et al. (2016)이 제공하고 있는 우리나라 EPU 지수가정확한지에 대한 검증이다. 두 번째는 정제된 용어를 이용하여 새로운 EPU 지수를 작성하고 이를Baker et al. (2016)의 EPU지수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PU 지수작성에서 신문사의 구성이 달라진다고 해서 지수값 자체의 큰 변화는 없다. 둘째, 온라인 기사는 중복으로 공개되는 경우가 많은데, 온라인으로 인한 중복 기사와 EPU 지수 간의 연관성은 일률적으로 주장할수 없다. 셋째, Baker et al. (2016)의 EPU 지수는 새로운 EPU지수보다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다른지표들과의 상관관계가 더 낮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우리나라 EPU 지수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Baker et al. (2016)에서 선정된 용어를 그대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좀 더 정제된 용어를 선택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Verifying whether the Korean EPU index provided by Baker et al. (2016) is correct and creating a new EPU index using refined terms and comparing it with the Korean EPU index provided by Baker et al. (20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 of newpapers used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EPU index. Second, online articles are often published in duplicate; however, it cannot be uniformly asserted that including online articles affects the EPU index. Third, the new EPU index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other indicators of uncertainty compared to Baker et al. (2016) s EPU index.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more accurate Korean EPU index, the terms selected in Baker et al. (2016) should not be accepted as they are, and more refined terms should be us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 자료 및 EPU 지수 작성
Ⅳ. EPU지수와 다른 변수와의 관계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