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한 기업이 경영진단의견서(MD&A) 정보공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위하여 존재하는 기업내부의 의사결정시스템으로 감시와 통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 지배구조는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것이 공시품질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실증분석에는 한국증권거래소에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계속 상장된 비금융업에 속한 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MD&A 공시품질을 다양하게 측정하여 종속변수로 하고, 독립변수인 기업지배구조 변수와 이 외에 공시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통제변수들을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세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증 분석 결과, 지배구조가 개선된 기업일수록 공시품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사회 및 감사기구의 개선을 통하여 경영자에 대한 감시·감독 기능을 철저하게 하는 기업의 경영자는 투명경영에 대한 요구 때문에 공시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기업 내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의 영향력과 MD&A 공시품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기업차원에서의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경영자의 공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주목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정부 당국의 기업지배구조 설계 방향과 이로 인한 경영자의 공시선택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Purpose] In this study, I analyze how companies that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affect the MD&A(Management Discussions and Analysis) information disclosure. Corporate governance is the internal decision-making system that exists for the benefit of the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company. It plays a role of monitoring and control. Corporate governance is expected to affect management decis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corporate governance plays a positive role in corporate disclosure quality. [Methodology] The sample of this study is a non-financial company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from 2010 to 2014.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MD & A disclosure qualit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level of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including the control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affect the disclosure level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Finding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disclosure quality of firms with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was high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managers of companies with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are reporting more inform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the audit committee and the disclosure quality of MD&A.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efforts on managerial decision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corporate governance design and company disclosure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 모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