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소총 및 실탄별 사격 거리에 따른 뇌관화약의 분포 및 탄착흔의 특징

Distribution of Primer Residue and Gunshot Impact Marks by Firing Distance

  • 100
154224.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뇌관화약 잔사물의 검출 시험은 총기사고에서 총기 발사자 식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증거물 중 하나이다. 군의 주력 개인화기로 사용되고 있는 K-1소총과 K-2소총으로 5.56 mm KA071탄 및 KA036탄발사 시 거리에 따른 뇌관화약 잔사의 분포특성을 확인한 결과, K-1소총과 K-2소총 모두 1.5-2.5 m 사이에서 가장 많이 분포함을 확인하였고 뇌관화약 잔사 입자의 최대검출 거리는 K-1소총은 8.5 m 그리고 K-2 소총은 9.5 m임을 각각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총기사고 발생 시 재구성을 위한 발사 거리에 따른 뇌관화약 잔사의 분포 및 탄착흔의 형태에 관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gunshot residue (GSR) particles has extensive significance in forensic examination of cases involving suspected use of firearm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rimer residue particles in rela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shooting point. K-1 and K-2 rifle was employed with commonly used ammunition 5.56 mm KA071 and KA036, the major firearms used in the military. The results showed that maximum number of primer residue particles could be found in the front at a distance of (1.5-2.5) m with respect to the shooting firearm position. primer residue particles were found in distance 8.5 m from shooting firearm (K-1 rifle), and primer residue particles were found in distance 9.5 m from shooting firearm (K-2 rifle). The conclusions of the presented study can be potentially used to reconstruction a shooting event in real case investigation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