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25.jpg
KCI등재 학술저널

캠핑여가 참여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열정,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생활만족의 구조적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assio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Baby Boom Generations Participating in Camping Leisure

  • 84

본 연구는 캠핑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열정,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생활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1955년 ~ 1963년 사이에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2020년 6월부터 11월동안 서울, 경기의 캠핑장 10곳을 방문하여 50세 이상의 베이비붐 세대들에게 총 2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윈도우즈용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의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캠핑 참여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열정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1). 둘째, 캠핑 참여 베이비붐 세대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1). 셋째, 캠핑 참여 베이비붐 세대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5). 이는 캠핑 여가활동에 열정적으로 전문화되어 참여하는 것이 베이비붐 세대의 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assio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 generations who participate in camping leisure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baby boomers From June to November 2020, 10 campsites in Seoul and Gyeonggi, collected 220 pieces of data. Through Windows SPSS and AMOS program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leisure pass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s who participated in camp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p<.001). Seco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baby boom generations participating in camp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001). Thir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baby boom generations participating in camp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05).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ng in camping leisure activities with 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s.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