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Barrett Universal II 공식과 Barrett Toric Calculator에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굴절예측 정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위해 본원을 내원한 환자 111명 11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IOL Master 700?? (Carl Zeiss Meditech AG, Jena, Germany)으로 Barrett Universal II 공식 또는 Barrett Toric Calculator를 사용한 굴절예측치와 수술 후의 현성굴절검사값을 이용하여 평균절대오차를 구하였다. 난시교정인공수정체를 넣은 대상 중 각막후면난시가 0.3 diopters (D)보다 큰 그룹을 분류하여 두 방법의 평균절대오차를 비교했다. 결과: Barrett Universal II 공식, Barrett Toric Calculator의 경우 구면렌즈대응치에 대해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의 평균절대오차의 차이는 각각 0.021 ± 0.102 D (p=0.65), 0.015 ± 0.121 D (p=0.80)였다. 난시교정인공수정체를 넣은 대상 중 후면각막난시가 0.3 D보다 큰 경우 구면렌즈대응치와 난시에 대한 평균절대오차 차이는 각각 -0.020 ± 0.107 D (p=0.70), -0.023 ± 0.055 D (p=0.50)였다. 결론: 전체각막곡률측정법은 표준각막곡률측정법과 비슷한 굴절예측 결과를 보였고, 난시교정인공수정체를 삽입했을 때 후면각막난시가 큰 경우에도 전체각막곡률측정법이 표준각막곡률측정법에 비해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of standard and total keratometry data obtained using the Barrett Universal II and Barrett Toric Calculator. Methods: In total, 111 eyes of 111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cataract surgery from February 2019 to September 201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tal keratometry and standard keratometry data were obtained using the Barrett Universal II and the Barrett Toric Calculator; mean absolute errors were derived by using preoperative IOL Master 700?? (Carl Zeiss Meditech AG, Jena, Germany) data and 2-month postoperative manifest refraction data. The mean absolute errors of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in terms of a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greater than 0.3 diopter (D) in patients fitted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Results: Using the Barrett Universal II formula, the mean absolute error spherical equivalent difference between total keratometry and standard keratometry was 0.021 ± 0.102 D (p = 0.65) when the Barrett Toric Calculator was used. The mean absolute erro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were 0.015 ± 0.121 D for the spherical equivalent (p = 0.80) and 0.005 ± 0.870 D for the cylinder measurement (p = 0.94). In terms of a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greater than 0.3 D, the mean absolute error spherical equivalent and cylinder measurement differences were -0.020 ± 0.107 D (p = 0.70) and -0.023 ± 0.055 D (p = 0.50) in patients fitted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Conclusions: The total keratometry method, which directly measures posterior corneal curvature, yields data comparable to those of the standard keratometry method. When the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was greater than 0.3 D,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keratometry and standard keratometry data of patients fitted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0)
- 에탐부톨 유발 독성 시신경병증과 동반된 철결핍성 빈혈에 의한 허혈시신경병증
- 각막육아종이 반복되는 스티븐스-존슨증후군 환자에서 무세포 보존 각막의 층판이식술 효과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 후천제삼뇌신경마비의 임상양상과 자연경과
- 10세 이후 사시교정술을 받은 환자에서 사시 종류에 따른 수술 후 입체시 변화에 대한 고찰
- 망막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와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2차원 정량적 단기 효과 비교
- 속발개방각녹내장과 유리체혼탁으로 발현된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 성인 코눈물관막힘에서의 눈물길미세내시경 실리콘관삽입술과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중 시행한 통상적인 눈물주머니 조직생검의 유용성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량적 견인회선검사
- 라식수술 후 각막켈로이드의 국내 증례 1예
- 일차 열공망막박리에서 망막하액배액술의 동반 없이 시행한 공막돌륭술의 수술 결과
- 황반원공 망막박리로 나타난 베체트병
- 천공된 앞공막포도종 환자에서 무세포 보존 각막을 이용한 수복적 층판이식술
- 당뇨황반부종에서 0.1% 브롬페낙 점안액의 효과
- 전체각막곡률측정법과 표준각막곡률측정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 예측의 정확도 비교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백내장수술 후 황반 모세혈관총 분석
- 만성 이황화탄소 노출에 의한 망막 변화
- 양안 망막중심정맥폐쇄로 나타난 다카야스동맥염
- 코곁굴질환과 관련된 비성시신경병증의 임상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