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의 적정 과학기술 공공외교 현황

A Study on Korean Public Diplomacy of Appropriate Technology

  • 317
154240.jpg

적정기술은 해외 개발도상국 지역 주민의 환경과 수요에 맞추어 서로 다른 국가 및 국민들이 상호작용하는 공공외교의 틀로 비추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에 공공외교법이 발효 되는 등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정부, 기관, 국민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한류 등 문화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현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주요국과 한국의과학기술 공공외교 현황을 비교해보고, 한국의 강점 및 발전 가능성, 평가 관리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적정기술과 과학기술을 공공외교의 틀에서 접근한다면 한국 및 현지의 각 참여자들이 유기적으로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ppropriate technology could be viewed in light of the framework of public diplomacy in which different countries and peoples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and demand of residents in developing countries abroad. Korea has been relatively recently participating in public diplomacy since the effectuation of public diplomacy law in 2016, and tends to focus on cultural areas such as the Korean Wave. In this regard, this study compares the current state of public diplomacy i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major foreign countries and consider Korea s strengths,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management. The framework of public diplomacy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k systemic cooperation in appropriate technology.

서론

과학기술 공공외교의 평가 기준 및 방향

과학기술 공공외교의 국제사회 현황

한국의 과학기술 공공외교의 현황 및 사례

한국 과학기술의 공공외교 활용의 강점

결론

사사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