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현배의 문학관과 외솔시조의 의미
Choi Hyun-bae’s view of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Oesol Sijo
- 이민규(Lee, Min-gyu) 박애경(Park, Ae-kyung)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51권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1
- 131 - 156 (26 pages)
1894년부터 1970년까지 순한글전용을 주장해온 국어학자 외솔 최현배는 국문학에도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그 관심의 성과가 외솔시조였다. 본고는 최현배의 문학관을 통해 이 외솔시조가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최현배는 문학적 요구란 생명의 요구라고 규정하면서, 개인의 생애와 민족의 역사를 아우르는 문학을 지향했다. 외솔시조는 이 최현배의 문학관이 드러나는 문학적 성과였다. 평생을 국어학자로 살아온 최현배에게 언어란 인간 감정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수단이었고, 언어적 발화란 인간의 존재론적 본질을 규정짓는 근원이었다. 외솔시조는 바로 인간이 어떻게 새로운 문학 문화를 창달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성찰의 결과였다. 이 최현배의 외솔시조는 동시기의 정인보가 지은 위당시조와도 중요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정인보가 한문 고전에 기반한 시조의 음악성과 정통성에 집중했다면, 최현배에게는 시조의 언어성에 집중하면서 시조의 언어적 형식에 좀 더 집중했다. 다만 최현배와 정인보의 시조문학이 상충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최현배와 정인보 모두 문학과 생명을 연관짓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이러한 점을 좀 더 심도 있게 성찰하기 위한 연구사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Korean language scholar Choi Hyeon-bae, who insisted on the use of pure Korean text from 1894 to 1970, was also interested in Korean literature, and his interest led to the creating of Oesol.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meaning of Sijo Oesol through Choi Hyun-bae s view on literature. As a Korean language scholar, Choi Hyeon-Bae defined literary demand as a demand for life and aimed for literature that encompasses the individual’s life and the nation’s, fate and history. Oesol expressed years in prison, thoughts of his hometown, traveling, and longing for Ju Si-gyeong. In that sijo, Choi Hyun-bae’s personal feelings and his reflection on the nation were in balance and harmony. The sentiment of the sijo reflects his literary view that literary demand is the demand of life. Meanwhile, Choi Hyun-bae also revealed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Jeong In-bo. While Jeong In-bo focused on the musicality of sijo based o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t was important for Choi Hyun-bae to maintain the linguistic structure of sijo. However, this difference should not be viewed as a conflict between Choi Hyun-bae’s and Jeong In-bo’s sijo literature. To analyze and deeply reflect on Choi Hyun-bae’s and Jeong In-bo’s literature, this paper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history.
1. 서론
2. 최현배 문학관 속 언어와 사상의 합일, 생명의 요구
3. 외솔시조 속 생명의 요구 실천
4. 외솔 신체시의 시조 형식 가능성과 의미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