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중 정서노동의 원인과 결과
The Causes and Consequence of Emotional Labor in Work Meetings: Differential process through Regulatory Focus strategies
- 한국인사관리학회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4집 4권
- : KCI등재
- 2020.11
- 1 - 21 (21 pages)
본 연구는 기업에서 대부분의 종업원들이 일상 업무에서 경험하는 회의에 대한 연구이다. 회의 중 개 인의 조절초점 전략이 정서노동 전략을 통해 회의만족에 끼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Higgins(1997)의 조절초점이론을 근거로 개인의 조절초점에 따라 회의상황에서 다른 정서를 경험하여 각각에 적합한 전략을 통해 서로 다른 회의만족 수준을 경험하는지 알아보았다. 직장인 25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 식 모형을 사용하여 조절초점에서 각각의 회의정서노동전략으로 경로계수(예방초점-내면행동; 향상초 점-표면행동)를 추가한 경쟁모형 비교를 통해 연구모형이 타당함을 검증하였으며, 회의에서 개인의 조 절초점에 따라 차별적인 정서노동전략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Bootstrap 검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에서 향상초점이 회의만족에 끼치는 정적 효과는 내면행동을 통해, 예방초점이 회의만족에 끼 치는 부적 효과는 표면행동을 통해 매개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 의 조절초점 전략이 회의정서노동의 선행변인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고, 기존 회의표면행동과 지각 된 회의효과성 간 관계뿐만 아니라 회의내면행동의 효과와 회의만족 간 관련성을 추가로 확인해볼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 labor strategy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ulatory focus strategies and meeting satisfaction. Based on Regulatory Focus Theory by Higgins(1997), this study expected that different personal motivation tendencies in meetings will experience different meeting satisfactions, because of using the distinct emotional labor strategies (prevention focus with surface acting, promotion focus with deep acting).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253 samples of the employees. Firstly, comparison with competitive model, the research model had more appropriate fit with sample, and also identified that employees with different regulatory focus choose specific emotional labor strategy in work meetings. Nex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promotion focus on meeting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deep acting. On the contrary, the influence of prevention focus on meeting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surface acting, and the significance of 2-indirect effects was supported by Bootstrap method. Last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