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기록에 기반한 박물관 전시콘텐츠 생성의 방향과 과제
Th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Creation of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Oral Records: Focused on ‘A Research Project of Producing Oral History Video Clips Displayed at the Exhibition of IMF Situations’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본고는 박물관이 실행하는 구술채록 관련 사업이 전시나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박물관 내 활동으로 이어져야 할 필요를 강조하면서 그와 관련한 실천적 사례로서 2019 년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진행한 ‘전시 맞춤형 구술영상 제작 연구: IMF 경험을 중심으로 한 구술생애사 영상기록’ 프로젝트를 분석한 것이다. 해당 구술채록사업은 특정 사건을 중심에 둔 ‘주제 구술’ 기록이 주를 이루던 기존 박물관 구술채록에서 나아가 ‘전시 맞춤형’과 ‘생애사 기반’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었다는 특징을 갖는다. 연구자는 본 사업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시 활용을 위한 박물관 구술채록사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술사 영상기록이 갖는 특징과의의를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비디오카메라가 켜진 상태에서 구술자가 ‘말하지않는 것’이 무엇인지 눈여겨보며 전시 맞춤형 구술기록 시 주의해야 할 부분을 점검하고, 영상 구술기록이 갖는 강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전시에등장하는 구술사가 현존하거나 현존했던 실제 인물의 발화이므로 특정 역사적 사건의 현장성과 사실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전시재현 장치로서 기능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구술자료의 활용은 전시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이로 인해 박물관은큐레이터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곳이 아닌 시민(구술자)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다양한 담론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useum oral history recording projects, which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in recent years, are being used in various forms, especially in exhibitions. This paper is emphasized on the need for the oral history-related projects to lead to various museum activities including exhibitions and educations and so on. As a practical example of thi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oral history projects in museums ‘A Research Project of Producing Oral History Video Clips for the Exhibition of IMF Financial Crisis Situations’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s analyzed. This research argues that oral history functions as an exhibition representation device that more actively reveal the reality of a specific historical ev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useum can be developed as a venue for various discourses in which citizens participate actively using oral history.
I. 서 론
II. 연구내용
III.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