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68.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소자산을 활용한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콘텐츠 차별화 방안

Differentiating Contents for Rural Art Spaces through Place Assets

DOI : 10.52564/JAMP.2020.56.275
  • 407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수와 농촌의 문화적 잠재력 확대에주목하여, 장소자산의 활용을 통해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콘텐츠를 차별화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우선 농촌 문화예술공간의 현황과 역할을 파악하고, 장소 자산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물리적 요소, 인적 요소, 상징적 요소로 장소자산을 분류하여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아미 미술관과 감자꽃 스튜디오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현장조사와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사례지는 물리적 장소자산 중의 하나인 농촌의 폐교를 활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밖의 장소자산 요소 활용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콘텐츠 차별화 방안으로 귀결되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농촌의 문화예술공간을 주민 친화형, 아티스트 친화형, 관광 친화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장소 자산의 활용과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이라는 환경에서 문화예술공간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농촌 문화예술공간활성화를 통한 농촌 지역의 문화적 재생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a way to differentiate content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rt spaces in rural regions through place assets, noting the growing number of rural art spaces and their great potential as cultural spaces in recent years. First, we surveyed existing research and resourc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roles of rural art spaces in the context of theoretical discussions on place assets. Based on this, we classified place assets into physical, human, and symbolic elements. After that, we conducted two case studies that apply this classification. For the case studies on the Ami Art Museum and the Potato Flower Studio, we investigated the sit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follow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ur findings through the case studies show that Ami Art Museum and Potato Flower Studio remodeled closed school buildings, which are known as physical place assets in rural area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utilizing other place asset elements, and this resulted in different types of differentiated contents. We found three types of rural art spaces from two case studies: inhabitant-friendly, artist-friendly, and tourist-friendly. Finally, in our research, we presented a method of utilizing place assets that differentiate rural art places along with a method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contents. To conclude,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is that it attempted to find out a way to make rural art spaces sustainable, and sought cultural regeneration in rural areas through revitalization of rural art spaces.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사례 분석

IV.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