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와 한국어 자세 동사의 대조 연구
A Contrastive Analysis of Posture Verbs in Russian and Korean: A Focus on “Sidet(сидеть)” and “Antta(앉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동유럽발칸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제44권 4호
- : KCI등재
- 2020.11
- 61 - 87 (27 pages)
언어 대조는 주로 음운, 형태, 통사 단위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왔으며, 어휘 의미에 대한 대조 연구는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졌다. 최근 대규모 말뭉치 자료 구축을 통해 객관적인 언어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의 변화로 언어 간 보편적 의미 현상을 모색하는 어휘 대조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 자세 동사 ‘сидеть’와 한국어 ‘앉다’를 대상으로 대조 분석을 시도한다. 자세 동사는 신체의 부동자세를 가리키며 다양한 의미 확장의 기저가 되고, 행위 의미와 상태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흥미로운 동사군이다. 본 연구는 사전 의미에 기반하여 자세 동사 ‘сидеть’와 ‘앉다’를 기본적인 자세 의미와 여기에서 비롯되는 비자세 의미로 나눈다. 비자세 의미는 자세 의미가 중화되거나 문맥적 의미가 더해진 경우로, 다시 위치 의미, 행위 의미, 특수 의미로 구분된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의미 유형이 실제 두 언어에서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대조 리스트를 작성하고, 두 언어의 연어 관계(collocation)를 상세히 분석한다. 이를 통해 두 자세 동사의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고, 이러한 차이는 각 동사가 내포한 의미 자질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힌다. 의미 유형에 기반한 체계적인 대조 분석은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러시아어 어휘 교수법 개발, 능동 학습사전 편찬 및 기계 번역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s of the respective Russian and Korean posture verbs “sidet” and “antta” and analyzed their collocation. These verbs’ meanings were divided into posture and non-posture meanings based on their respective dictionary definitions. Non-posture meanings were further categorized as location, action and special meanings. Posture meanings are realized by animate subjects, but the ranges of animate subjects that can realize each verb differ.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ositional fixation of “antta” is realized on a relatively limited basis and that “antta” connotes the directionality of moving from top to bottom. The locative meanings of the two verbs differ according to the place noun that the verb is paired with. Both verbs are combined with nouns indicating closed and narrow places, but “sidet” denotes a meaning of “to stay in a place for a long time” when combined with a noun referring to a large, open place. When conveying an action meaning, both verbs express the persistence of an action as the [fixation of position] is derived in terms of persistence, not change in state. Unlike “sidet”, “antta” can combine with verbs that designate a dynamic action and expresses the repetition and continuity of the action as an auxiliary verb. The special semantic meanings of both verbs express that the position of an object is fixed. However, the verbs combine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ranges of inanimate nouns. In addition, “antta” contains [directionality], so it can express the movement of objects from top to bottom. As discussed above, these two verbs both have the [fixation of position] semantic component, but this component is limited for “antta” to non-posture meanings because it also includes dynamic [directionality]. This difference in semantic structure is also reflected in their collocations.
1. 들어가는 말
2. 자세 동사의 의미적 특성
3. ‘сидеть’와 ‘앉다’의 의미 대조
4.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