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353.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 왕실에서의 우황고 활용 양상 연구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 5

본 연구는 왕실의 진료 기록이 상세히 남아 있는 『승정원일기』를 통해 조선 왕실에서의 우황고 활용 양상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 결과 우황고는 조선 왕실에서 주로 煩熱, 熏熱, 夜間發熱, 천연두나 수두, 홍역 등으로 인한 熱證 등 주로 熱과 관련된 질환에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황고는 여러 차 종류와 함께 복용하는 방식, 액상형으로 만들어 복용하는 방식, 외용제로 활용하여 熱性 피부질환에 응용하는 방식 등 『승정원일기』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확인된 내용들을 의서와 비교하며 『승정원일기』에서 나타나는 우황고의 복용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고, 연구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었던 영조의 의학적 인식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This study studied the use of Woohwanggo in the Joseon royal family through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which contains detailed records of royal medical treatment. The study found that Woohwanggo was mainly used for diseases related to vexing heat (煩熱), fumigating heat (薰熱), night fever (夜間發熱), and heat syndrome (熱證) from smallpox, and measles in the royal family of Joseon.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Woohwango was us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way it was taken with various types of tea, the way it was made into liquid form, and the way it was used as an external agent for skin diseases. Further findings were compared to the medical books, and the dosage characteristics of Woohwango in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were discussed. and the medical perception of King Yeongjo (英祖), which was examined during the study, was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본론

Ⅲ. 고찰

Ⅳ.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