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한의과대학(원)의 CPX의 현황을 분석하고, CPX의 개발과 파급에 필요한 과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한의과대학(원)의 CPX의 현황을 조사하고, CPX의 개발과 시행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2020년 7월 현재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CPX를 시행하는 대학(원)은 13개 중 7곳이다. 한의과대학에서 개발한 CPX 모듈이 적지 않지만, 한의학 문헌 등에 기반하여 한의학 특성을 더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한의학교육에서 CPX를 확대, 파급하기 위해, 임상표현(Clinical Presentation)의 범위를 합의하고, CPX 모듈의 개발을 표준화해야 한다. 여러 대학이 공동으로 표준화환자를 모집, 훈련, 관리한다면 CPX가 더욱 효과적으로 시행될 것이다. 또한 진료수행지침서를 공동으로 개발해야 한다. CPX를 전체 학교로 파급하고 다양한 CPX 모듈을 개발하려면 인력, 재정, 행정 지원 등이 필요하다.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CPX in colleg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nationwide and investigate the operations required for it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we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CPX in the nationwide colleg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suggest an improvement plan. A total of 7 colleges (graduate schools) performed CPX using the standardized patients as of July 2020 out of 13 colleges (graduate schools). Because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CPX modules developed by the colleg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 wide array of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re covered, based on the literatur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scope of Clinical Presentation should established and a CPX module should be standardized to expand and distribute CPX i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f multiple colleges collect, train and manage the standardized patients in cooperation, CPX could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medical clinical performance guide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hould be developed in cooperation. Greater support in the form of manpower, finance, and administration are required to distribute CPX to all colleges and develop various CPX modules.
Ⅰ. 서론
Ⅱ. 자료 및 연구 방법
Ⅲ. 본론
Ⅳ.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