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o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Reports

  • 84

본 연구는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007년부터 2012년 사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공표 여부를 이용하여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 여부를 측정한 후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편의, 이익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 여부뿐만 아니라 동일 기업 내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 전·후 이익예측편의, 이익예측오차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한 기업에 대해 재무분석가들은 보다 낙관적으로 이익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분석가들은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하지 않은 기업보다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한 기업의 이익을 보다 부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한 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하기 이전보다 비재무적 정보를 공시한 이후에 재무분석가들이 보다 낙관적이고 부정확하게 이익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라는 비재무적 정보의 정보유용성이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업의 정보이용자들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같은 비재무적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재무적 정보의 공시에 대한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has an impact on the analysts’ earnings forecasts. We investigate that the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affects the analyst forecast bias and analyst forecast error using the issu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reports to proxy of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during 2007 and 2012.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nalyst forecast bias and analyst forecast error before and after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Our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we find that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re more optimistic about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Second analysts’ earnings forecasts become less accurate about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Third, we find that analysts overestimate earnings and analysts forecasts become less accurate after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the usefulness of nonfinancial information(CSR reports) to stakeholder of corporate is a low level. We suggest that stakeholder of corporate gives added attention to use nonfinancial information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가설

Ⅳ. 표본 및 연구모형

Ⅴ. 실증분석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