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세무이익의 정보효과

Information Content of Taxable Income - Focused on Consistency of BTD and Foreign Equity Ownership

  • 8

회계이익을 보완하는 성과측정치로서 세무이익이 제시되면서, 회계이익과 세무이익의 차이(BTD)는 다양한 주제들과 연관 지어져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데 반해, 세무이익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세무이익의 정보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 첫째, Chen et al.(2012)의 연구에서 언급되었던 BTD의 일치성이 세무이익의 정보효과에 있어 이익조정과 세무계획변수에 추가적으로 증분설명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최근 조세회피 및 세무전략, 이익조정과 관련하여 외국인지분율에 대한 결과들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주장이 일반적이기에 외국인투자자가 세무이익의 정보효과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무이익은 주식수익률에 음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이익조정수준이 높은 표본에서 세무이익은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세무전략수준이 높은 표본에서는 세무이익이 양의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TD의 일치성변수는 세무계획변수 및 이익조정변수가 포착하지 못하는 부분의 증분설명력은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높은 외국인지분율의 세무이익의 차별적 정보효과는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외국인지분율이 높을수록 공격적 세무전략표본의 세무이익은 양의 정보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외국인지분율이 높을수록 이익조정표본의 회계이익은 음의 정보효과가 나타났으나, 세무이익은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외국인지분율이 높을수록 BTD일치성이 높은 표본의 회계이익은 양의 정보효과가 있었으며 세무이익은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성과측정치로 이슈가 되고 있는 세무이익이 회계이익에 추가적으로 투자자들에게 기업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이익조정과 세무계획을 통제하고 BTD일치성의 증분설명력을 알아보았으며 높은 외국인지분율기업의 세무이익의 정보효과를 분석하려는 시도를 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axable income has information content of firm value by using relation stock returns. There are two kinds of corporation’s reporting income: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Book income is for financial reporting purposes under GAAP and taxable income is to determine the corporation’s tax liabilities under tax law. Recent research suggests taxable income contains more mandated rule error than book income because legislators generally write tax rules to raise revenue and motivate behavior and not specifically to measure performance. Also extant research suggests that book-tax differences are useful measures in evaluating firm performance. Our sample consists of firms listed on Korean Stock Exchange over the period of 2004-2009 and the sample size is 1,052 firm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followed:I find taxable income coefficient to stock returns i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In return model with Consistency of BTD, information content of tax expense decreases not significantly. My results suggest that high tax planning has effects on the information content of taxable incom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f taxable income would likel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would assist the information users including investors that they analysis value relevanc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표본선정 및 연구설계

Ⅳ. 실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