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B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생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다. 설문조사 분석에 앞서 셉테드 관점에서 전반적인 물리적 현황분석과 연구대상지와 유사한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물리적 특징을 가진 신도시 2곳의 범죄 발생 현황을 함께 비교 분석했다. 설문 조사는 생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설정하여 진행했는데, 첫 번째는 생활행태요인으로 이웃관계 및 근린생활 행태 관련 요인이다. 두 번째는 방범환경요인으로 범죄피해 경험 및 시간대별·장소별 범죄불안감과 셉테드 적용에 대한 인식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민들의 이웃관계 만족도가 높고 범죄불안감이 낮을수록 생활환경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이웃관계 만족도는 평소 알고 지내는 이웃의 수와 이에 대한 만족도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범죄불안감은 셉테드 적용 여부를 인식하는 것과 큰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셉테드 적용 여부를 인식하는 것은 방범시설의 시인성 향상과 셉테드 인증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verifies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iving environment in the residents of B Newtown. And it is a basic study to create a safe living environment. Prior to the survey analysis, the overall physical sit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P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crime in two new cities with similar socio-popul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as compared and analyzed together.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main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The first is the factors related to neighborhood relationships and neighborhood lifestyle. The second factor is the crime safety factor, which includes experience of crime damage, crime anxiety by time and place, and awareness of the application of CPTED. The results of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neighbors and the lower the crime anxie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ir living conditions. First of all,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relationships wa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neighbors they knew. In addition, anxiety over crime has a big bearing on recognizing whether or not CPTED is applied. Recognizing the application of CPTED has shown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and to utilize the CPTED certification system.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현황분석
Ⅳ. 설문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