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시설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적용 효과를 이용자 기반의 시뮬레이션 전/후 비교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개별 설계요소의 적용 우선순위 선정에 있어 객관적 근거를 실증적으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시설을 크게 4개의 영역(경계/진입부, 건물외부, 건물내부-공용, 건물내부-전용공간)으로 구분하고 4가지 CPTED 전략(감시성, 접근통제, 영역성/명료성, 유지/관리 및 활용성)에 초점을 두어 총 24쌍의 장소기반 설계요소 적용 전/후 시뮬레이션 비교 도안을 작성하였다. 대구지역 4개 초/중등학교 교직원 114명을 대상으로 한 범죄 안전체감 설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전체 시뮬레이션 전/후 평균값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세부 CPTED 요소의 효과성은 적용된 공간/장소에 따라 부분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건물외부 후미진 공간 영역/활용성 강화(8.518), 사각지대 내 CCTV 설치(8.5), 학교담장 주변 CCTV 설치(8.202), 건물외부 후미진 공간 접근통제(7.93), 주차장 공간 영역/활용성 강화(7.342) 순으로 효과성이 높게 집계되었다. 또한 설문 응답자 성별을 구분하여 평균값 차이를 비교한 결과, 특정 CPTED 요소의 경우 통계적 유의도와 효과성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교시설에 적용된 CPTED 성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간/장소별 효과성이 높은 설계요소를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세부 디자인 전략을 선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on the performance of CPTED in school by quantifying the mean difference(MD) of individual CPTED elements measured by the user-based pre/post visual evaluation. Focusing on 4 CPTED strategies (access contro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and maintenance), an empirical framework for the research goal specifies 24 pairs pre/post visual simulation which categorize a spatial unit of school into 4 dimensions (edge/entrance, outdoor, public-indoor, and private-indoor). The results from user survey, targeted at 114 school personnel from 4 schools in Daegu,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evaluation on the degree of subjective safety (p<0.05). The effectiveness of CPTED elements, meanwhile, varies across spatial units. More specifically, reinforcing maintenance (MD=8.518) and installing CCTV (MD=8.5) in a secluded spot outside building, installing CCTV in edge/entrance (MD=8.202), access control to a secluded spot outside building (MD=7.93), improving territoriality in parking areas (MD=7.342) are highly ranked in the level of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statistic t-test between two groups separated by gender found the variation in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effectiveness among the specific CPTED elements. Therefore, not only adapting spatial-relevant but also selecting gender-perspective CPTED elements are recommendable for improving the CPTED performance in school.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