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감시범위 및 운용기관별 효과성을 중심으로
- 강용길(Kang, Yonggil) 염윤호(Yeom, Yunho)
- 한국셉테드학회
- 한국셉테드학회지
- 제11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8
- 35 - 59 (25 pages)
연구목적은 방범용 CCTV의 감시 범위과 운용기간을 중심으로 절도와 폭력범죄예방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CCTV 설치와 관리의 효율성 및 범죄예방효과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최근 CCTV의 범죄예방효과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수집하여 정리하고, 둘째, 연구대상지역 방범용 CCTV 운용기간별(1년~3년), 감시범위별로 절도와 폭력의 설치 전·후 발생건수를 실험구역과 통제구역 간 비교를 통해 Odds Ratio값을 산출하여 범죄예방효과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지역의 방범용 CCTV 절도예방효과는 감시범위가 좁을수록 절도 예방효과가 높고, 운용기간으로는 1년차보다 2년, 3년이 경과한 후에 예방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지역별 CCTV 절도예방효과 비교·분석결과, 공통 결과는 100m와 125m 감시범위에서 운용기간 2년차에 가장 예방효과가 높았으며, 상이한 결과는 두 지역 간 감시범위별, 운용기간별, 전체 CCTV 통합효과에서 K구는 효과가 없었으나, G구는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지역별 특성이 절도폭력예방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셋째, CCTV 폭력예방효과는 감시구간별로는 예방효과가 있으나 높지 않다. 운용기간별로는 설치 1년과 2년차에서 유사한 수준의 예방효과가 있으나, 3년차에는 예방효과가 없거나 대폭 낮아졌다. 넷째, K구와 G구는 공통적으로 모든 감시범위에서 폭력예방효과가 있고, 감시범위가 좁을수록 예방효과가 높다. 또한 운용기간별로는 1년과 2년차에 폭력예방효과가 있다. 상이한 결과는 G구의 감시범위별 예방효과의 수준이 K구보다 전반적으로 높으며, 감시범위별 폭력예방효과에서 상반된 결과를 보인다. 역시 폭력예방효과에서도 지역별 특성이 폭력예방효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ft and violent crime prevention based on the scope of surveillance and operation period of CCTVs for crime prevention. The research method first collected and organized prio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of CCTVs, and secondly, Odds Ratio value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cases before and after theft and viol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zones by the period of operation of CCTVs (1 year to 3 years) and the scope of surveillance in the target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narrower the surveillance range, the higher the prevention effect of theft, and the higher the prevention effect after two and three years of oper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prevention of theft of CCTVs in each studied area,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common results were the most preventative effect in the second year of operation, and the different results were that K-gu did not work in the integrated effects of surveillance range, period of operation, and overall CCTV between the two regions, but the characteristics of G-gu affected the prevention of theft. Third, CCTV violence prevention effect has a preventive effect by surveillance section, but it is not high. By period of operation, there is a similar level of prevention effec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installation, but there is no or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hird year. Fourth, K-gu and G-gu have violence prevention effects in all surveillance ranges in common, and the narrower the range, the higher the prevention effect.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violence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operation. Different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preventive effects by monitoring range of G district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K district, and that the opposite results are shown in the prevention of violence by surveillance range. In addition, it can be estimated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prevention of violenc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