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모바일 서비스에서 핵심은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보편화되었고 이는 미래의 주역인 젊은세대에게는 더욱 그러한 경향성이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공공영역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일반 사기업 영역만이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들을 하고 있고 일부 사례들을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인도주의를 실천하는 기관과 단체에서 이러한 점이 아직 미비한 것이 있다. 특히 시대적인 흐름에 맞게 개인의 효능감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효능감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영리를 추구하는 민간기업들이 이러한 작업에 더 진일보한 측면이 있다. 미래 세대들도 이러한 점에 따라서 사회적 움직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젊은 세대들 특히 Z세대의 경우 앞선 밀레니얼 세대보다 인도주의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므로 젊은 세대가 너무 자신만을 생각한다는 이기주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인도주의를 확산할 수 있는 매개이자 촉진수단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지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사례들에서 도출된 공통적인 선호 요소들을 통해 미래세대 지향의 애플리케이션 원리를 탐색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of application in humanitarian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of three group.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re of smart mobile services is an application, and this trend is stronger for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the leading players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is trend in the public domain as well. Not only in the general private sector but also in public institutions, many attempts are being made to achieve the intended purpose by using applications, and some cases are eliciting good responses. But overall, there are still some incomplete humanitarian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social efficacy rather than staying on the individual’s sense of efficacy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re is a further aspect to this work by private, for-profit companies. Future generations also create social movements according to this point. Younger generations, especially Generation Z, are also paying more attention to humanitarianism than the previous millenn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application can be structured and operated as a medium and facilitating means for spreading humanitarianism away from the frame of selfishnes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thinks too much of themselves.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application principles aimed at future generations through various examples.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분석
4. 결론-연구의 한계와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