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405.jpg
학술저널

인도주의 지수 관련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Prospects of Humanitarian Index

  • 68

지난 수십 년 동안 인도주의 단체들의 수·종류·규모가 상당히 확대되었고, 군사·다국적 기업·민간 기업 등 인도주의적인 대의를 주장하는 참가자들이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기들이 반복적이고, 장기화되고, 복잡한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인도주의적 필요를 해결하는 장기적 전략과 행동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인도주의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한국의 인도주의 수준 진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인도주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입각하여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 그리고 한국의 인도주의와 관련된 연구는 국내외 인도주의 지원, 국제인도주의 기구, 국제 인도법 등이 있지만 인도주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고 특히 인도주의에 대한 질적·양적 접근은 거의 전무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국내외 인도주의 관련 지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 지수들이 갖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도주의 개념과 그것이 발전된 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외 인도주의 지수 현황을 간략히 분석하고 그것들이 제시하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number, type, and size of humanitarian organizations have increased considerably,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advocate humanitarian causes such as military, multinational companies, and private companies is increasing. Nevertheless, crises have shown repetitive, prolonged and complex characteristics. This has made it important to develop long-term strategies and actions to address humanitarian needs. Despite growing interest in humanitarianism and the need to diagnose the level of humanitarianism in Korea, there is not much activity in Korea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level of humanitarianism and seek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it. And while Korean humanitarian-related research includes humanitarian assistance at home and abroad, international humanitarian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umanitarian concepts and there is litt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to humanitarianism in particular.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ex related to humanitarianism at home and abroad, and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ose indi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look at the concept of humanitarianism and the process in which it has developed, secondly, we would like to analyze briefly the current status of humanitarian indices at home and abroad and derive the implications they present.

1. 머리말

2. 인도주의 개념의 발전

3. 인도주의 관련 사례

4. 결론: 인도주의 지수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