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정부의 능력중심사회 정책에 대한 청년인식조사

A Survey on Youth 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s Competency-based Social Policy

  • 73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능력중심사회 구현’ 관련 정책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실제 정책 적용 대상인 청년층을 중심으로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2년제, 4년제), 취업준비생, 재직자 등 정책 대상별로 층화하여 설문을 실시했으며, 능력중심사회 인지도 및 체감도, 능력중심사회 구현 필요성 및 정책과제 등을 도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 청년은 35.8%이며, 능력중심사회로 전환될 필요성에 긍정적인 답변은 65.3% 이나 실제 우리사회가 능력중심사회로 변화하고 있는가에 대한 긍정적 답변은 29.4%에 불과하였다. 향후 능력중심사회 실현을 위해 청년들의 니즈에 부합한 정책 개발 및 보급에 노력하고, 정책의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된다. 진정한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정책적 노력뿐만 아니라 정치・사회・경제 모든 당사자들의 노력 및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olicies related to implementation of a capacity-oriented society under the current government s national agenda an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ability-based society among young people who are actually subject to the policy application in order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layers of policies, such as college students (2-year, four-year), job seekers, and employees, and the recognition and sensitivity of a capacity-oriented society, the need to implement a capacity-oriented society, and policy tasks were drawn.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35.8% of the young people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Competency Review Board, 65.3% answered the need to be converted into a capacity-based society, but only 29.4% answered the question of whether our society is actually changing into a capability-based society. In order to realize a future competency-oriented society, efforts are made to develop and distribute policies that meet the needs of young people, and active promotion of policies is required. In order to realize a truly capacity-oriented societ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ake policy efforts but also to change the efforts and perceptions of all parties to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and this is the time when a new social paradigm.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