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대생커리어개발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Women s 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Program

  • 97

이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커리어개발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 후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양성평등의식에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17개 대학에 2015년 프로그램 참여자 중 프로그램 운영시간이 최소 8시간 이상 프로그램만 선정하여 총 3,4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대학생의 젠더의식에 기반한 진로의식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자기평가, 직업정보수집, 계획수립, 목표설정, 문제해결방식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고, 양성평등의식은 교육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 등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별, 전공별 참가자 특성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양성평등의식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젠더의식강화훈련, 개인별커리어개발 등의 영역별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 행동, 양성평등의식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커리어개발프로그램이 양성평등의식에 바탕을 둔 진로프로그램으로서, 성역할 고정관념을 벗어나 진취적인 진로준비를 위한 통합적인 진로개발프로그램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진로나 직업세계에 기반한 젠더의식강화훈련과 같은 특화된 진로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위한 연구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articipants in the Women s 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Program show meaningful changes in career-setting effectiveness, career-preparatory behavior, and gender equality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o achieve this goal, 17 universities operating female college student career development centers across the country will select only programs with at least eight hours of program operation in 2015, analy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btained by surveying 3,484 students, and present measures to boost their awareness of career based on gender awareness among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s differed significantly in all sub-factors, including self-evaluation, job information collection, planning, setting goals, and problem-solving method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including educational life, professional life and social and cultural life. Seco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y gender and major, career-sett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ender equality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sett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ender equality in areas such as gender awareness reinforcement training and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Women s 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Program is a career program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can be evaluated as an integra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to prepare for enterprising career beyond gender stereotypes.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support are needed to support these programs to be activated, and to develop and distribute specialized career programs such as gender awareness training based on career or professional worl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