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보험회사의 재보험전략과 기업가치
Reinsurance Strategy and Firm’s Value of Non-life Insurance Compan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2 No.6
- : KCI등재
- 2020.12
- 2679 - 2691 (13 pages)
본 논문은 국내 상장손해보험회사의 재보험전략과 그 성과가 기업가치와 가지는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손해보험회사는 위험의 적절한 분산을 통한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재보험을 이용(출재)하기도 하지만 인수능력의 범위내에서 타 원수보험회사의 보험계약을 인수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수재)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손해보험회사의 출재 및 수재보험영업의 성과와 출재 및 수재비율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출재보험손익은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으나 수재보험손익은 유의적인 변수가 아니었다. 그러나, 출재보험손익이 전체손익에 대해 가지는 증분적 가치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손해보험회사의 출재비율은 기업가치를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였으나, 수재비율은 기업가치를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손해보험회사의 자기자본 장부금액과 순이익정보가 설명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손해보험회사의 출재수준이 과다하여 출재의 위험분산효과가 미미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위험인수(수재)를 통한 추가적인 수익창출기회 획득이 기업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손해보험회계분야에서 그 동안 조명되지 못했던 기업의 재보험전략이 기업가치와 가지는 관련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paper studied the value relevance of the reinsurance strategy and its performance of the domestic listed non-life insurance company. Non-life insurance companies uses reinsurance by ceding to conduct stable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proper dispersion of risks, but also uses reinsurance to generate additional profits by acquiring insurance contract from other non-life insurance companies within the scope of its ability to take over. Thus, in this paper, the value relevance of the reinsurance business result and degree of utilization in the non-life insurance industry was studied. The study found that ceded results were significant that explained firm’s value and assumed results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 But th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of ceded result to overall gains and losses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lthough the degree of non-life insurance companies reinsurance ceded did not significantly explain their value, the degree of reinsurance assumed significantly explained their value and showed that they had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that their net assets and net income information did not explain. These results support the claim that the risk distribution effect of the non-life insurance company is insignificant due to the excessive level of ceding, and suggest that the additional revenue-generating opportunities through active risk taking may increase firm’s 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tudied the relevance of a company s reinsurance strategy, which has not been highlighted in the field of non-life insurance accounting.
1. 서론
2. 재보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가설의 개발
3. 연구모형 설계
4. 실증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