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감사인 선임이 부채시장에 미치는 정보효과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ost of Debt Capital
- 한국회계정보학회
-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 제12권 제4호
-
2012.1021 - 40 (20 pages)
- 16
본 연구에서는 지정감사인 선임으로 인해 높아진 감사품질이 부채시장에서 인지되는지, 혹은 지정감사인이 선임되는 기업이 가지는 본질적 내재위험의 부정적 정보가 부채시장에서 인지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만약 지정감사인의 독립성이 유지되어 감사품질이 높아진다면, 신뢰성 있는 재무제표를 생산해 낼 것이고, 이는 차입자인 기업과 대출자인 투자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줄여 기업의 부채조달비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 있다. 반면에 지정감사인이 선임되는 사유 중 대부분이 이유 없는 감사인 교체, 감리지적기업 등으로 기업의 위험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이는 기업들이라는 점에서, 지정감사인 선임이라는 정보 자체가 부채시장에 부정적인 정보효과를 가져올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지정이 가지는 이상의 두 가지 효과가 부채시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지정감사인 선임여부와 평균부채비용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정감사인의 선임여부와 기업의 평균부채비용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정감사인 선임으로 대출자와 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지정감사인 선임이 가지는 부정적 정보자체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정감사인 선임은 부채시장에서 부정적 정보로 받아들여져 대출계약시에 대출자가 추가적인 위험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지정감사인 제도는 한국을 포함한 몇몇 나라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감사제도이다. 그러므로 동 제도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본 연구가 정책입안자나 투자자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debt capital market. Specifically I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ost of debt capital in Korea. In an ex-ante sense, the independence of designated auditor increases audit quality, enhances the financial statements reliability, reduces the information asymmetry, and reduces the cost of debt capita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st of debt capital of the firms designated by mandatory auditor may increase since the high risky firms are designated by mandatory auditors in many cases, so the news that mandatory auditor is designated can be a bad signaling in debt market. By using 41,032 Korean firm/year observations, I find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st of debt capital. This result shows tha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more highly recognized as a bad signal rather than a good signal reduc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borrowing firms and investors in debt capital marke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 exceptional regulation which exists only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study may shed sone lights on our understanding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of the regula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와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