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23.jpg
KCI등재 학술저널

감사품질이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vision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on Earnings Management

DOI : 10.29189/KAIAAIR.38.3.04
  • 70

[연구목적] 감사보고서는 외부감사인이 기업의 회계품질에 대하여 독립적인 의견을 표명하는 수단이다. 감사인은 기업의 회계품질에 대한 공식적인 감사의견을 명시적으로 감사보고서에 보고하며, 이와 함께 감사보고서에는 감사인 본인의 감사품질이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품질에 따라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2018년도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감사보고서를 Python을 활용하여 가독성을 측정하였다. 감사품질이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표본에 대한 분석 결과,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이 높아져 감사품질과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보고서에는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핵심감사제 또는 추가적인 기재사항이 있는 감사보고서와 이러한 정보가 없는 감사보고서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핵심감사제와 추가적인 기재사항이 있는 감사보고서에서만 감사품질과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이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이 감사품질에 의문이 있는 경우에는 감사보고서에 기재사항을 추가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우리 나라의 감사보고서가 핵심감사제나 추가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감사보고서가 표준안에 따라 작성되어 감사보고서의 가독성에는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감사과정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회계감사기준의 개정이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감사보고서가 공식적인 의견 이외에 가독성을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것과 감사보고서가 피감사기업의 회계품질 만이 아니라,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urpose] The audit report is a means by which external auditors express their opinions on the accounting quality of a firm. The auditor expresses the audit opinion on the accounting quality of the firm, and the auditor s own audit quality can be expressed in the audit repor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adability of the audit report according to the audit quality. [Methodology] We use the Python program to measure the readability of the audit report in the 2018 audit report of listed firms.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the readability of the audit report.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sample, the higher audit quality has the higher readability of the audit report,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t quality and the audit report readability.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audit report has been implicitly expressed information about the auditor s audit quality. Next, we compared the results by distinguishing the audit report with the key audit system (Key Audit Matter; KAM) or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audit report without this information.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t quality and the readability of the audit report only in the audit report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uditor adds information to the audit report when in doubt. In addition, the audit report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mat, suggesting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adability of the audit report. This shows that the revision of the auditing standards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audit report is meaningful. [Implicat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audit report provides information to investors through audit report readability in addition to the opinion of audit, and new evidence that the audit report conveys not only information about the audited firm s accounting quality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audit quality of auditor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모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