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지배구조가 최고경영자 교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Outsider CEO Turnover
- 최웅용(Choi, Ung Yong) 배현정(Bae, Hyun Jung)
- 한국회계정보학회
- 회계정보연구
- 제27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09
- 95 - 124 (30 pages)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에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비금융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마련된 제도적 장치들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최고경영자 교체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경영성과가 좋지 않아 최고경영자를 교체해야하는 상황에서 사외이사 비중은 제3자로의 최고경영자 교체와 관련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지배주주기업에서는 경영성과가 손실로 최고경영자를 교체해야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외이사 비중은 제3자로의 최고경영자 교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비지배주주기업의 경우는 경영성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사외이사 비중은 제3자로의 최고경영자 교체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마련된 여러 제도적 장치들 중 사외이사제도는 기업의 경영자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수단으로 기업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가 아닌 제3자로의 최고경영자 교체를 이루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업환경에서 지배주주의 영향력은 상당하며, 이러한 지배주주의 영향력은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더디게 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n the outsider CEO Turnover. The sample was the firms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from 2002 to 2004. Also, the corporate governance date were collected from the kind - system, and the CEO Turnover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IS - VALUE Ⅱ and dart - syst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the outside director and the outsider CEO turnover with poor performing. Second, There wa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outside director and the outsider CEO turnover with poor performing in non - majority shareholder firm.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he outside director and the outsider CEO turnover with poor performing in majority shareholder firm. As a result of all this, outside director can play an important corporate governance in the role monitoring CEO when CEOs have poor performance.
Ⅰ.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