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코스닥에 신규로 상장한 기업을 대상으로 주주의 지분율이 기업가치(Q)와 재량적발생액(DA)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외부의 지분율을 소유 금액의 크기에 따라 소액주주지분율(SMALL)과 외부대주주 지분율(BLOCK)로 구분하고 SMALL과 BLOCK이 Q와 DA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기업가치(Q)의 대용치로는 토빈Q를, 재량적발생액(DA)은 수정존스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밖에 통제변수로는 Q에 대해서는 EPS, GROW, SIZE, LEV, LARG(대주주지분율), FORE(외국인지분율)를, DA에서는 CFO, GROW, SIZE, LEV, BIG5, LARG(대주주지분율), FORE(외국인지분율)를 포함하였다. 표본은 신규 상장기부터 그 이후기간에 걸쳐 지분 변동이 많은 신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상장기(t기), 차기 (t+1기), 차차기(t+2기)와전체기업, 일반기업, 벤처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기업가치(Q)를 종속변수로 한 분석에서는 SMALL은 일반기업에서만 양으로, BLOCK는 전체기업과 일반기업, t+1기에서 음으로 유의하여 SMALL은 일반기업에서 FORE와 함께 기업가치에 양(+)으로, BLOCK은 LARG와 함께 전체기업, 일반기업, 벤처기업 및 t+1기에서 기업가치에 음(-)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적발생액(DA)을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는 SMALL의 경우는 전체기업, 일반기업에서 음(-)의 계수로 유의하여 재량적발생액을 억제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LOCK은 전체 기업, 일반기업, 벤처기업, t기, t+1기, t+2기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소액투자자는 대주주 혹은 외국인주주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재량적발생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소액투자지분율이 일반기업에서 재량적발생액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신규상장기업의 효율적 경영감시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and firm value(Q), and discretionary accruals(DA) through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Ownership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largest investor(LARG), small investor(SMALL), outside rest(BLOCK), and foreigner(FORE) in this stud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wnership on SMALL and outside rest(BLOCK).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research model is Tobin s Q as a substitute firm value and modified Jones model as a substitute DA. The research samples consist of 195 IPO firms between 2003 and 2006 in KOSDAQ. These sample firms are for three years after the IPO year (from 0 to +2 years). Therefore total samples are 585(195×3=585). This sample classified into general, venture and non-venture firm and t year, t+1 year, t+2 year after IPO. Control variables are EPS, GROW(growth rate), SIZE, LEV(debt ratio), LARG, FORE in dependent variable Tobin s Q and CFO, GROW, SIZE, LEV, BIG5(quality of audit), LARG, FORE in dependent variable DA. I found that SMALL is significant positive(+) sign in non-venture firm and BLOCK is significant negative(-) sign in general firm, non-venture firm, t+1 year in dependent variable Tobin s Q. And SMALL is significant negative sign in general firm and non-venture firm and BLOCK is not significant anywhere. Negative sign means to affect in decreasing DA. People know generally SMALL is inferior to LARG and FORE in analytical skills of DA. But I found SMALL is significant influence on magnitude of DA through this study. Particularly, SMALL is negative sign consistently general, venture firm. This result implied that SMALL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monitor.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