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187.jpg
KCI등재 학술저널

PBR/PER에 의해 분류된 기업특성별 비상장주식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luation Method of Unlisted Stock by PBR/PER

  • 91

본 연구는 PBR모형과 PER모형 그리고 Ohlson모형에 의한 비상장기업 가치평가시 기업특성별로 어떠한 모형이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PBR과 PER의 크기에 따라 기업특성을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추정오차율 차이와 절대오차율 차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비상장기업이지만 주가자료를 이용하여야 하고 비상장기업의 경우 이익과 순자산 예측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어서, 동종업종의 상장기업을 비상장기업으로 전제하여 2003년말 현재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중 화학업, 전기전자업, 유통업의 3개 업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각 연도별 주가는 이후 5년간의 실적치를 예측치로 가정하고 재무예측치가 내재적 기업가치를 반영한다고 전제하여, 먼저 PBR모형과 PER모형, Ohlson모형에 의한 추정오차율과 절대오차율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그리고 PBR과 PER의 크기에 따라 성과우수기업(고PBR/고PER기업), 성과악화기업(고PBR/저PER기업), 성과개선기업(저PBR/고PER기업), 성과불량기업(저PBR/저PER기업)의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추정오차율 차이와 절대오차율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상장기업평가시 업종별 적합한 모형 분석에서는 화학업과 전기전자업, 유통업의 3개 업종 모두에서 PBR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모형의 절대오차율 차이에 의한 정확성 검증에서는 화학업과 전기전자업은 ‘Ohlson 모형>PER모형>PBR모형’의 순으로 주가차이가 작았고, 유통업은 ‘Ohlson모형>PER모형=PBR모형’의 순으로 주가차이가 작게 나타나 PBR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4개 그룹별 적합한 평가모형의 분석에서는 성과우수기업(고PBR/고PER기업), 성과악화기업(고PBR/저PER기업), 성과불량기업(저PBR/저PER기업)은 PBR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성과개선기업(저PBR/고PER기업)은 PER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PBR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model is appropriate for each type of business and for four groups classified by PBR(price book-value ratio) & PER(price earnings ratio) levels through PBR, PER and Ohlson model. The object of this study is unlisted stock but there are some limit to collect the forecasting data so I analyzed the listed stock that premised as unlisted stock in the same industries. For this study, I targeted the three industries which are chemistry, electricity & electronics, distribution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as of the end of 2003. First, I analyzed the prediction error and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of absolute prediction error by PBR model, PER model and Ohlson model. Second, I classified into four groups, highPBR/highPER, highPBR/lowPER,lowPBR/highPER, lowPBR/lowPER by PBR & PER levels and analyzed the prediction error and the absolute prediction error.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PBR model is appropriate for all three industries those are chemistry, electricity & electronics, distribution. In the examination of accuracy by absolute prediction error for three models, the gap of stock price showed in order of Ohlson model > PER model > PBR model in the chemistry, electricity & electronics industry and Ohlson model > PER model = PBR model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Second, In the appropriate model analysis for four each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PBR model is appropriate for the high performance (highPBR/highPER), the worse performance (highPBR/lowPER), the bad performance (lowPBR/lowPER) and PER model is appropriate for the better performance (lowPBR/highPER).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주가배수에 의한 기업가치 모형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