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02.jpg
KCI등재 학술저널

BSC의 전략적 관리수준과 BSC 성과

Strategic Management Level and BSC Performance

  • 40

BSC를 통한 전략 목표의 달성은 전략적 지향에 따른 각 관점별 핵심성과지표로 구체화되고 각 성과지표의 목표달성을 통해 실현된다. 따라서 기업의 전략목표를 구체화할 수 있는 세부성과지표의 선정도 중요하지만 전략구현의 수단이며 실행 강화를 위한 BSC의 전략적 관리노력이 목표달성의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BSC 도입기간 5년 이상의 도입 초기단계를 벗어난 기업을 대상으로 BSC의 구조화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입기간과 기업규모를 통제변수로 하여 BSC의 전략적 관리수준이 관점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추가분석으로서 관점별 세부성과지표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략적 관리수준과 BSC 각 관점별 성과는 학습 및 성장관점, 고객관점, 재무관점의 순으로 매우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BSC의 운영을 위한 보고 시스템의 강화, 전략의 정책으로의 전환, 전략과 연계된 지식공유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원들의 학습 및 성장관점의 성과향상이 높았으며, 이사회나 TOP 10 고객, 주요 공급사 의견의 적극적인 반영은 고객관점의 성과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BSC 운영기업의 기업규모가 클수록 고객관점과 재무관점의 성과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BSC의 구조화 수준은 4개 관점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BSC 운영을 통한 성과는 기업규모가 크며 기업 외부이해관계자들이 제시하는 요구사항의 적극적인 수렴과 전략실행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략목표달성의 수단이자 기업구성원들의 전략소통의 수단인 BSC의 전략적 운영관리가 강화될 때 기업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부분적으로 검증한 것이며, 특히 전략실행관리의 강화와 외부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BSC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reports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BSC as a strategy communication and management-control device. The selec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refine the details corporate strategic goals are important, but strategic management of the BSC is more important to achieve strategic goal. In this study, BSC adopters and 53 domestic companies were analyzed for BSC and detailed performance indicators performanc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c management level. Strategic management level of BSC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That is, Strategy execution management , BSC structured and Information convergence of external stakeholders . Ongoing strategic management and monitoring through the corporate board of directors, the effort for the maturation of the BSC and the convergence of opinions of key suppliers, partners and the TOP10 customers will improve the corporate performance. Strategic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BSC can expect an improvement i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the BSC. Especially the convergence of opinions of key suppliers, partners and the TOP10 customers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가설의 검증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