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14.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익조정과 감사보수의 비체계적 관계

Un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 Fee

DOI : 10.29189/KAIAAIR.36.2.3
  • 18

본 연구는 이익조정과 감사보수(시간)는 체계적인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의심을 품고 연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물이익조정 및 발생이익조정 수준과 비정상감사보수(시간)의 관련성을 분포 차이 분석방법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인 관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비정상이익조정과 비정상감사보수(시간)의 변수를 각각 음(-), 양(+)으로 구분한 다음 표본이 체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물이익조정의 대리변수인 비정상현금흐름, 비정상재량적비용, 비정상제조원가 등과 비정상감사보수(시간)의 분포가 두 변수 사이에 체계적인 관계를 인식할 만큼 유의적이지 못하였다. 실물이익조정 대리변수들을 음(-)과 양(+)으로 구분하고 비정상감사보수(시간) 변수를 또한 음(-)과 양(+)으로 구분한 다음 분포의 편중성 또는 균등성을 분석하였으나 Pearson의 Φ2검증결과 두 변수 사이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실물이익조정 대리변수인 비정상현금흐름, 비정상재량적비용, 비정상제조원가 등의 비정상감사보수(시간)에 대한 관계가 체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어떤 변수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었다. 실물이익조정에 대응하는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역시 각기 다른 결과를 나타내어 변수 선택이 검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선행연구에서 조건 없이 검증결과가 나타난 경우에도 그것이 표본수에 의존적인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발생이익조정의 분석에서도 실물이익조정의 경우와 다르지 않게 모형의 선택 및 감사보수 또는 감사시간 등의 선택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은 데이터의 비체계성이 선행연구들로 하여금 복잡한 조건하에서만 이익조정과 감사보수(시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도출하거나 일관된 결과 도출에 실패하거나 유의한 결과를 내지 못하게 한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exists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 fee(hour) by distribution analysis using classification of abnormal earnings management and abnormal audit fee(hour) as one group with negative and the other group with positive, respectively. Real earnings management estimated by abnormal cash flow, abnormal discretionary expense, abnormal manufacturing cost and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re not associated systematically with abnormal audit fee(hour) which represents audit risk. This unsystematic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management proxies and audit risk causes a failure of consistent results many previous research. This implies an importance of variable selection which could affect the results. Different results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the choice of models for extracting earnings management and abnormal audit fee(hour) proxies. This may be the reason by which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derive a specific rel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 fee(hour) or have failed to produce consistent results or have obtained meaningful results only under a complex condi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모형과 표본의 선정

Ⅳ. 분석과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