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는 한국의 합병사례를 대상으로 시장수준에서 합병정보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에 관한 실증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합병행위가 주주의 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와 합병당사기업의 특성변수별로 시장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본고가 발견한 주요내용 및 그 학술적, 실무적, 정책적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합병정보가 증권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유익한 정보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합병의 시너지동기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서 기존의 학술적 관점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내용이라는 학술적 관점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내용이라는 학술적 의의를 갖고 있다. 둘째, 기업의 합병정보가 증권시장에서 합병기업 보다 피합병기업의 주주에게 더욱 유리하게 반영되고 있으며, 관련합병 정보가 다각적합병 정보 보다 더욱 유리하게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역시 선행연구들의 발견과 대부분 일치하는 결과로서 기업의 내부관리자 및 증권투자자에게 합병대상 및 투자종목의 선택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셋째, 기업의 합병정보가 증권시장에서 합병당사기업의 특성변수에 따라 달리 평가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피합병기업과 합병기업의 상대적 규모차이가 적은 표본일수록, 합병전 부채비율이 높은 표본일수록, 합병전 수익성이 낮은 표본일수록 합병정보가 더욱 유리하게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시너지 효과의 크기와 그 배분이 합병당사기업이 처한 특수한 상황에 따라 시장에서 달리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기업의 내부관리자 및 증권투자자에게 합병대상과 투자종목의 선택시 필요한 전략적 관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넷째, 국가의 산업정책적인 측면에서 산업의 구조조정과 수익성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병을 어떻게 규제하고 장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즉, 합병에 대한 법적규제, 산업정책적 지원, 그리고 합병관련 인허가와 투자자 보호 등의 목적에서 참고할 수 있는 경험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과제
III. 실증분석
I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