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사회융합연구
- 제4권 제6호
- : KCI등재후보
- 2020.12
- 107 - 116 (10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T지역 D대학의 1, 2, 3학년 예비유아교사 200명이며,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통해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16문항과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요구 7문항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아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서 유아안전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아안전교육이 필요한 이유에서는 유아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로 조사되었다.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것에서는 안전기능 터득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아안전교육 목적에서는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 습득으로 인식되었다. 유아안전교육의 내용에서 유아안전교육 실시 시 가장 고려할 점으로 유아 개개인의 특성으로 인식되었으며, 유아안전교육 내용 중 최우선적 교육항목에서는 교통안전으로 인식되었다. 앞으로 더 요구되는 유아안전교육 내용으로는 질병 및 전염에 대한 안전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유아안전교육의 요구에서는 유아안전교육 교과의 확대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문적인 안전교육 교과에 대한 요구도 매우 필요한 것으로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and seek ways to revitalize th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D University in the T area, and the research tool was surveyed as 16 questions on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and 7 questions on demand for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was very necessary in terms of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t was recognized as acquiring the ability to protect oneself from safety accidents. Second, in the demand for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mand for expansion of th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subject was very high. The demand for professional safety education subjects was also very necessary.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