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가 한국의 대영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Trade Effects of the Brexit Referendum: Evidence from Korean Exports to the UK

  • 256
154477.jpg

2016년 6월 23일 국민투표 결과로 인한 영국의 브렉시트(Brexit) 선언은 영국의 EU 탈퇴가 아직 비준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 경제적 상황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어 세계 교역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렉시트 국민투표의 결과가 한국의 대영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역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차분모형(difference-in-differences model)의 사용을 통하여 처리 집단(treatment group)은 브렉시트를 선언한 영국, 통제집단(control group)은 나머지 EU및 OECD 회원국으로 설정하여 브렉시트 선언 이후 한국과의 교역이 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분기별 교역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브렉시트 선언 이후 한국의 대영국 수출은 약 9.5% 정도 감소하였다. 이는 무역협정 탈퇴는 선언 그 자체만으로도 무역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켜 교역에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UK’s sudden Brexit declaration as a result of the June 23, 2016 referendum is expected to affect international trade markets through amplified uncertainty o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even though the EU has not ratified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 how Korea’s exports to the UK are influenced due to the Brexit referendum to find implications of the economic effects of uncertainty o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Apply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hile setting the UK as the treatment group and other EU and OECD members as the control group with quarterly trade data from 2000 to 2018, we find that Korea s exports to the UK decreased by about 9.5% after the declaration of Brexi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claration of withdrawal from the trade agreement itself can increase uncertainty on economic environment to the country and generate a negative effect on trade.

Ⅰ. 서론

Ⅱ. 브렉시트 선언 전후 영국의 교역 현황

Ⅲ. 분석방법

Ⅳ. 데이터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