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486.jpg
학술저널

공동체행복을 위한 평생교육정책의 역할

시민행복프로그램개발을 중심으로

  • 109

오늘 현대인들은 공동체의 행복에 갈증을 느끼고 있다. 그 이유는 공동체에 불행한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경제적 양극화에 따른 위화감,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저성장사회의 도래, 위험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안전문제 등은 혼자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때 행복에 대한 개념정의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행복은 조화와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물질과 비물질의 조화, 일과 여가의 균형, 신체와 정서의 조화로운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도시가 너와 나, 우리 모두가 행복한 공동체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체구성원의 평생학습을 통해 세주체(시민, 공직자, 공공지도자)에 대한 윤리교육과 시민행복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한다.

In recent times, people are searching for happiness because of bad symptoms are occurring in the community. Community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economic polarization,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and safety issues, etc. The basic premise of the solution is the definition of happiness. Happiness is a state of harmony and balance. In other words, happiness is a combination of harmony between material and non-material, work-life balance, and physical-emotional harmony. Therefore, to achieve the vision, ethics education and Programs for Happiness of Citizen should be developed and run through a lifelong learning program

1. 왜 공동체행복을 말하는가?

2. 공동체의 행복이란 무엇인가?

3. 어떻게 공동체가 행복할 수 있을까?

4. 맺음말

참고문헌